부고 US


※오탈자를 발견하시면, hurtfree@gmail.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확인 즉시 수정하겠습니다.
Copyright © newsandpost.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기사/사진/동영상 구입 문의 >>
Tweet
北 억류 미국인 석방 협상가 리처드슨 별세
수차례 방북…유엔 주재 美 대사·에너지부 장관 역임
기사입력: 2023-09-02 15:21:37
작성자: NNP info@newsandpost.com

해외에 억류된 미국인을 석방하기 위해 북한 등 외국 정부와 협상해온 빌 리처드슨 전 유엔 주재 미국대사가 별세했다. 비영리단체 리처드슨센터는 2일(토) 성명을 통해 리처드슨 전 대사가 전날 매사추세츠주 채텀 자택에서 숨졌다고 밝혔다고 워싱턴포스트(WP)와 AP통신 등이 보도했다. 향년 75세. 뉴멕시코주에서 연방하원의원과 주지사 등을 지낸 리처드슨 전 대사는 재임 기간과 퇴임 후 북한, 쿠바, 이라크, 수단 등 적성국에 억류된 미국인 석방을 위한 활동해온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석방과 미군 유해 송환을 위해 여러 차례 방북한 경험이 있다. 그는 1994년 주한미군 헬기가 휴전선 인근에서 비행하다 북한에 격추되자 평양에서 석방 교섭을 벌여 조종사 보비 홀 준위를 사건 발생 13일 만에 판문점을 통해 귀환시켰다. 2년 뒤인 1996년에는 빌 클린턴 당시 미국 대통령의 특사로 북한을 방문해 강석주 당시 외교부 제1부부장을 만나 밀입국 혐의로 억류된 한국계 미국인 에번 헌지커의 석방을 끌어냈다. 2009년 탈북자 문제를 취재하다 국경을 넘어 북한에 붙잡힌 중국계 미국인 로라 링 기자 석방에도 기여했다. 그는 2016년 북한이 대학생 오터 웜비어를 억류했을 때도 뉴욕에서 북한 외교관들을 만나 웜비어의 석방을 요청하기도 했다. 2019년에는 북한을 상대로 비공식 외교를 활발하게 한 공로로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되는 등 해외 억류 미국인 석방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노벨평화상 후보로 5번이나 추천을 받았다. 그는 하원의원(1982∼1996년)에 이어 유엔 주재 미국대사(1997∼1998년)를 지냈으며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에너지부 장관(1998∼2000년)을 역임했다. 뉴멕시코 주지사(2003∼2011)였던 2008년 민주당 대선 경선에 도전했다가 중도 사퇴하고 버락 오바마를 지지했다. 정치 생활을 마친 뒤에는 자신이 설립한 리처드슨센터에서 미국인 석방 활동을 이어갔으며 올해 1월에는 미국 정부와 협력해 러시아에 구금된 미 해군 출신 테일러 더들리를 집으로 데려왔다. 연합뉴스 |

※오탈자를 발견하시면, hurtfree@gmail.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확인 즉시 수정하겠습니다.
Copyright © newsandpost.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기사/사진/동영상 구입 문의 >>
Tweet
![]() |